열린 교실

‘정감이 뚝뚝!’

cassia 2005. 10. 9. 04:43

‘정감이 뚝뚝!’ 순우리말 마을 이름들


오름가름·매롱새미·범어너레 등…어감도 좋아 부를수록 더 정겨워


미디어다음 / 김지한 통신원

 

오름가름, 매롱새미, 범어너레, 애오개 등은 순우리말로 된 마을 이름이다.

어감도 좋아 부르면 부를수록 정감이 넘친다.

한글이 파괴되고 있다는 말을 많이 한다.

최근에는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그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순우리말을 지켜가고 있는 곳들이 적지 않다.

특히 지방의 마을 이름이나 지명에는 아직 순우리말이 많이 남아 있다.

또 최근에는 한자어로 된 지명을 순우리말로 바꿔 부르기도 한다.

아직까지 쓰이고 있는 순우리말로 된 마을 이름들 중에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사투리를 이용해서 지은 이름이 많다.

제주도 제주시 오라동의 오름가름 마을의 ‘오름가름’은 기생 화산인 오름 주위에

마을이 생겨 거리를 형성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름은 제주도 사투리로 거리를 나타내는 말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후산리의 따순기미 마을의

‘따순기미’는 따뜻한 기미라는 말을 전라도 사투리로 표현한 것이다.

마을이 산으로 둘러 쌓여 있고 양지 바른 곳에 있어 일년 내내 따뜻한 지역의 특성을 잘 살렸다.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의 매롱새미 마을의 ‘매롱새미’는

여름에 우물가에서 매미들이 요란하게 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매미의 사투리인 매롱을 사용해 이름을 지었다.

또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심천리의 지푸내 마을은 물이 깊은 하천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을 가지고 마을 이름을 지은 곳도 있다.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에 있는 범어너레 마을에는 근처에 있는 산에서

호랑이가 바위에 미끄러졌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강원도 정선군의 범여울 마을에도 이곳에서 호랑이가 새끼를 잃고 울었다는 전설이 있다.

애오개, 장승배기, 버티고개 등 서울의 지하철역에도 순우리말 있어

함양군 등에선 한자어 마을 이름 순우리말로 고치기도

그 지역에 서식하는 동식물의 이름을 따서 지은 마을 이름들도 있다.

충청도나 강원도 산골 마을 중에는 황새말(황새), 버들미(버들치), 두룬이(두루미),

노루재(노루), 보리골(보리), 반송골(소나무), 버들골(버드나무) 등의 이름을 가진 곳이 있다.

이는 각 동물이나 식물을 사투리로 부르는 말이 그대로 마을 이름이 된 경우다.

이처럼 순우리말로 된 지명이 남아있는 곳은 주로 지방이다.

하지만 서울에도 순우리말 지명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공식적인 지명으로는 한자어로 된 이름을 쓰는 곳이 많지만,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역에서는 순우리말 된 이름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마포구 아현동 지역의 지하철역 이름인 애오개는 남쪽 방향으로 뻗은

산줄기가 작다는 뜻의 순우리말 이름이다.

이 외에도 뚝섬, 장승배기, 까치산, 마들, 아차고개, 버티고개

서울 곳곳에 순우리말 역 이름들이 있다.

아울러 요즘에는 한자어로 된 마을 이름을 순우리말로 고쳐서 부르는 일에

앞장서고 있는 곳도 있다.

최근 경남 함양군은 약 100여 개의 한자식 마을 이름을 순우리말로 고쳤다.

함양군 서하면 우전 마을은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서 착안해 새로운 마을 이름을 지었다.

임진왜란 당시 이 지역의 한 장군이 왜군과 싸우다가 성이 함락되자 층암절벽에서 뛰어 내렸는데,

그때 난 소리가 마치 우레가 치는 것과 같았다고 한다.

그 뒤로 이곳은 ‘우레터’라고 불렸다. 바로 여기서 이름을 따와

우라터라는 새로운 마을 이름이 생긴 것이다.

함양군 안의면 삼산 마을은 그 지역의 고개 이름을 가지고 마을 이름을 지었다.

이 지역에 있는 고개의 이름은 ‘바래기재’였는데,

이는 남편이 서울로 과거를 보러 갈 때 길을 따라 나선 아내가 이 고개까지

남편을 바래다 주고 돌아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바로 여기서 이름을 따와 이 마을 이름을 바래기로 바꿨다.

이 밖에도 백전면 내천(內泉) 마을, 함양읍 후동(後洞) 마을, 마천면 양전(楊田) 마을 등은

한자어를 풀어 써서 각각 안새암골, 뒷골, 버들밭 마을로 이름을 바꿨다.

함양군 관계자는 “지역의 자연적인 특성이나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설들을 이용해

이름을 지었다”며 “이름을 순우리말로 바꾸고 나니 이름도 예쁘고 부르기도 쉬어 주민들의 반응도

상당히 좋다”고 말했다.